[정보/뉴스]입사 초기 2년 이직 후 6년 근속자, 8년 근속자와 임금차 거의 없다 날짜 : 2019-09-17 |
노동硏 노동리뷰 '청년의 이직과 성과' 보고서
【서울=뉴시스】강세훈 기자 = 졸업 후 8년 동안 한 직장에서 근속한 사람과 졸업 후 첫 2년까지 2회 이하 이직한 후 6년 동안 근속한 사람 간 임금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. 졸업 후 미취업기간이 길어질 경우 장기간의 임금손실이 생기기 때문에 좋은 조건의 첫 일자리를 구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.
17일 한국노동연구원은 '노동리뷰 9월호'에 실린 '청년의 이직과 성과' 보고서를 통해 청년 시절 이직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(임금)를 분석했다. 연구진은 졸업 후 8년 간 첫 일자리에서 이직 없이 계속 근무한 경우(8년 계속 근로자), 졸업 후 진입한 일자리에서 첫 2년 간 2회 이하 이직했으나 그 이후로는 6년 간 이직 없이 계속 근무한 경우(초기 이직 후 안정 고용자), 졸업 후 8년간 4회 이상 이동한 경우(빈번 이직자) 등 3가지 이직 패턴으로 나눠 현재(2016년 기준)의 성과를 비교했다.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이용해 최종학교 졸업 후 8년이 경과했으면서 25~44세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했다. 여성의 경우 결혼 후 경력단절 문제가 있어 최종학교 졸업 후 지속적으로 경제활동을 한다고 간주할 수 있는 남성으로 제한했다. 이들의 임금 수준을 비교해 보면 우선 8년 계속 근로자의 초기 상태 임금(졸업 후 첫 일자리 특성, 중위임금 기준)이 다른 집단에 비해 현격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 졸업 후 8년 간 하나의 일자리에 계속 근무한 사람들의 초기 임금이 100%라고 할 때 초기 이직 후 안정 고용자는 첫 일자리에서 53% 수준의 임금을 받았으며, 빈번 이직자는 49% 수준의 임금을 받았다. 하지만 현재 임금을 비교해 보면 졸업 후 8년 계속 근로자의 임금(100%)과 초기 이직 후 안정 고용자 임금(96%)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. 이는 초기 이직 후 안정 고용자가 1~2번의 이직을 통해 계속 근속자와 큰 차이 없는 근로조건을 달성하는 일자리로 이직하는 데 성공했다는 의미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. 반면 빈번 이직자는 현재도 계속 근로자 임금의 72% 수준에 그쳐 임금 차이를 따라잡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 한국노동연구원 성재민 동향분석실장은 "구직자 입장에서는 무작정 눈높이를 낮추는 것도 쉽지 않겠지만 좋은 일자리를 잡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졸업 후 미취업기간이 길어질수록 장기간의 임금 손실 발생 가능성이 있다"고 말했다.
성 실장은 "빨리 취업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면 취업해 일하면서 업계 상황을 파악해 이직을 통한 도약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노려 첫 2~3년 안에 이직을 통해 더 나은 고용관계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하는 것이 경력형성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"고 설명했다. kangse@newsis.com
출처 : 뉴시스 2019.09.17 https://news.v.daum.net/v/20190917054504945
| ||
파일 |
---|